韓国語の数字というと、ちょっとややこしくて、初級レベルから上級レベルまで多くの韓国語学習者が苦労するポイントの1つです。
1(いち)と言っても、韓国語では「하나」「한」「일」と表し方は様々です。どれをどんなときに使えば良いかわからなくなるという方も多いと多いと思います。
- 韓国語の数字の読み方を知りたい
- まずは韓国語の数字の一覧を見たい
- ネイティブがよく数字と単位を押さえた
- 韓国語の数を効率的に覚えたい
韓国語の数は2種類ある
日本語の数に、漢数字(一、二、三など)と固有数詞(ひとつ、ふたつ、みっつ)の2つの数え方があるように、韓国語の数字にも漢数詞と固有数詞の2種類あります。それぞれの数の読み方や使い方が異なるため、区別して使い分ける必要があります。
韓国国立国語院によると、単位を表す依存名詞(文章の中で1つだけでは使われない非独立的な名詞のこと)によって、漢数詞と固有数詞の表現を使い分ける必要がありますが、明確な規則があるわけではありません。
しかし、比較的小さい数を表すときは固有数詞が使われ、比較的に大きい数を表すときは漢数詞を使う傾向はあります。
数の表現やこれらを読む方式について国語院で別途規定したものはなく、語法的に正しく、正誤を判断できる問題ではございません。数の読み方は、慣習的に使われた方式によるもであるため、アラビア数字で表記しても、場合によっては固有数詞で読む方が自然な場合もあり、漢数詞で読む方が自然だと感じる場合もあるでしょう。
「韓国国立国語院」より引用
漢数詞
漢数詞とは、漢字の基づいて作られた数字です。零、一、二、三など、漢字からできた数字のことを指します。
固有数詞
固有数詞とは、ハングルの全身である訓民正音が誕生した当時からある韓国から生まれたオリジナルの数字です。1から100以上まで数え方がありますが、100以上については日常であまり使われていません。
固有数詞は、主に人や動物、物を数えるとき使われる「개(個)」、「명(名)」、「마리(匹)」、「대(台)」、「장(枚)」、「권(冊)」、「채(軒)」、「통(箱)」、「부(部)」、「자루(本(鉛筆やペンなど))」、「송이(房・輪)」、「그루(株)」などと一緒に使われます。
韓国語の数字の一覧表
韓国語の数字である漢数詞と固有数詞を一覧表にしてみました。
韓国語の0は3種類
韓国語で0の読み方は、主に「영(零)」、「공」、「빵(俗語)」の3種類があります。
「値のない数」を指す名詞である「영(零)」と「공」は同義語なので、同じように使うことができます。
1から19までの数字
数字 | 1 | 2 | 3 | 4 | 5 | 6 | 7 | 8 | 9 | 10 | 11 | 12 | 13 | 14 | 15 | 16 | 17 | 18 | 19 |
---|---|---|---|---|---|---|---|---|---|---|---|---|---|---|---|---|---|---|---|
漢数詞 | 일 | 이 | 삼 | 사 | 오 | 육 | 칠 | 팔 | 구 | 십 | 십일 | 십이 | 십삼 | 십사 | 십오 | 십육 | 십칠 | 십팔 | 십구 |
固有数詞 | 하나 | 둘 | 셋 | 넷 | 다섯 | 여섯 | 일곱 | 여덟 | 아홉 | 열 | 열하나 | 열둘 | 열셋 | 열넷 | 열다섯 | 열여섯 | 열입곱 | 열여덟 | 열아홉 |
20以上の数字
20以上から99までは、漢数詞と固有数詞のどちらも使われます。しかし、100以上になると、固有数詞はあまり使われることはなく、主に漢数詞が使われます。
数字 | 漢数詞 | 固有数詞 |
---|---|---|
20 | 이십 | 스물 |
30 | 삼십 | 서른 |
40 | 사십 | 마흔 |
50 | 오십 | 쉰 |
60 | 육십 | 예순 |
70 | 칠십 | 일흔 |
80 | 팔십 | 여든 |
90 | 구십 | 아흔 |
100(百) | 백 | 온 |
1,000(千) | 천 | 즈믄 |
10,000(万) | 만 | 골 |
100,000,000(億) | 억 | 잘 |
1,000,000,000,000(兆) | 조 | 울 |
10,000,000,000,000,000(京) | 경 | ※記載なし |
韓国語で数字を単位と一緒に使用する場合の注意点
韓国語の数字を単位と一緒に使う場合は、いくつか注意すべき点があります。
文字の変化
固有数詞と単位(依存名詞)を一緒に使用する場合、1(하나),2(둘),3(셋),4(넷),20(스물)は文字が1(한),2(두),3(세),4(네),20(스무)に変化します。
数字 | 固有数詞 | 개(個)を付けた固有数詞 |
---|---|---|
1 | 하나 | 한 개 |
2 | 둘 | 두 개 |
3 | 셋 | 개 세 |
4 | 넷 | 네 개 |
… | … | … |
20 | 스물 | 스무 개 |
21 | 스물하나 | 한 개 | 스물
22 | 스물둘 | 두 개 | 스물
23 | 스물셋 | 세 개 | 스물
24 | 스물넷 | 네 개 | 스물
… | … | … |
31 | 서른하나 | 한 개 | 서른
32 | 서른둘 | 두 개 | 서른
33 | 서른셋 | 세 개 | 서른
34 | 서른넷 | 네 개 | 서른
… | … | … |
40以降も同じく一の位に1,2,3,4が来ると、1(하나),2(둘),3(셋),4(넷),20(스물)は文字が1(한),2(두),3(세),4(네),20(스무)に変化します。
分かち書きが必要
韓国語で単位は、依存名詞であるため、基本的には分かち書きが必要になります。しかし、場合によっては分かち書きをしなくても許容される場合があります。
アラビア数字を使用する場合の分かち書き
日本で「1個」、「2個」と表記するように、韓国でも一般的にはアラビア数字と単位を一緒に使用します。(例:「1 개(1個)」「2 개(2個)」)
アラビア数字と単位を一緒に表記する場合は、原則分ち書きが必要です。例えば、「1 명(1名)」「2 명(2名)」というように、アラビア数字と単位の間に分かち書きが必要になります。
しかし、「한글 맞춤법(ハングル綴り)」条項によると、順序を表す場合や、数字と混ぜてよく使われる場合は付けて使えるとの記載があります。例として、時間、学年、年月日、住所などがあります。
原則的には、分かち書きは必要です。そのため、アラビア数字と単位を一緒に使っていて、かつ、分かち書きが必要かどうかの判断が難しい場合は、全て分かち書きをすると思って問題ないでしょう。
固有数詞を使用する場合の分かち書き
固有数詞を単位と一緒に使用する場合は、原則的に分かち書きは必要です。しかし、アラビア文字と同じく、順序を表す場合や、数字と混ぜてよく使われる場合は分かち書きをせず使うこともきょようされます。
その反面、「한 가지(1種類)」 、「백 권(100冊)」などは、順序を表す場合や、数字と混ぜてよく使われる場合にみなさないと、韓国国立国語院の判断もありました。
漢数詞を使用する場合の分かち書き
漢数詞を単位と一緒に使用する場合は、原則的に分かち書きは必要です。しかし、分かち書きをせず、順序を表す場合は、付けて使用することが許容されます。
万を超える場合の分かち書き
アラビアの数字を使用するときは、コンマ(,)を使って、千単位で区切りますが、ハングル語文規定によると、韓国語で数字を表記する場合は、万単位に分かち書きで区切ります。(ハングル語文規定より)
たとえば、20億3860万2491を韓国語で表記する場合、「이십억 삼천팔백유십만 이천사백구십일」という風に万の単位ごとに分かち書きをします。
漢数詞と固有数詞の使い分け
残念なことに、固有数詞と漢字数詞をどちらを使えば良いかという明確な判断基準はありません。おおむね、あまり大きくない数字は固有数詞を使い、大きい数字は漢数詞を使用する傾向はありますが、その逆を使用することが間違いというわけではありません。
明確な判断基準がないため、全て単位の使い分けを覚えることは一苦労です。
なので、まずは日常でよく使われる単位が漢数詞と固有数詞のどちらと使われるのかを覚えることが大切です。
よく使われる韓国語の数字
韓国でネイティブらがよく使う韓国語の数字の単位をいくつかピックアップしてみました。
人や動物、ものを数えるとき
人や動物、ものを数える単位と一緒に数字を使用するときは、1から19までは主に固有数詞を使います。
そして、20から99までは固有数詞と漢数詞どちらもよく使われます。
そして、100以上からは、主に数字の桁の名称(百、千、万…など)は漢数詞で表記し、それ以外は固有数詞を使います。
しかし、これらに反する場合でも、間違いというわけではありません。数字の読み方には明確な規定はないため、脈絡によっては漢数詞で読む場合も、固有数詞で読む場合もあります。
そのため、あくまで主に使われるものとして頭に入れておきましょう。
人や動物、ものを数えるとき単位は、「개(個)」、「명(名)」、「마리(匹)」、「대(台)」、「장(枚)」、「권(冊)」、「채(軒)」、「통(箱)」、「부(部)」、「자루(本(鉛筆やペンなど))」、「송이(房・輪)」、「그루(株)」などがあります。
개(個)
개(個) | 1 개(個) | 2 개(個) | 3 개(個) | 4 개(個) | 5 개(個) | 6 개(個) | 7 개(個) | 8 개(個) | 9 개(個) | 10 개(個) | 11 개(個) | 12 개(個) | 13 개(個) | 14 개(個) | 15 개(個) | 16 개(個) | 17 개(個) | 18 개(個) | 19 개(個) | 20 개(個) | 21 개(個) | 22 개(個) | 23 개(個) | 24 개(個) | 25 개(個) | 26 개(個) | 27 개(個) | 28 개(個) | 29 개(個) | 30 개(個) | … | 99 개(個) | 100 개(個) | 101 개(個) | 102 개(個) | 103 개(個) | 104 개(個) | 105 개(個) | … |
---|---|---|---|---|---|---|---|---|---|---|---|---|---|---|---|---|---|---|---|---|---|---|---|---|---|---|---|---|---|---|---|---|---|---|---|---|---|---|---|
漢数詞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이십 개 | 이십일 개 | 이십일 개 | 이십삼 개 | 이십사 개 | 이십오 개 | 이십육 개 | 이십칠 개 | 이십팔 개 | 이십구 개 | 삼십 개 | … | 구십구 개 | 백 개 | 백일 개 | 백이 개 | 백삼 개 | 백사 개 | 백오 개 | … |
固有数詞 | 한 개 | 두 개 | 세 개 | 네 개 | 다섯 개 | 여섯 개 | 일곱 개 | 여덟 개 | 아홉 개 | 열 개 | 열한 개 | 열두 개 | 열세 개 | 열네 개 | 열다섯 개 | 열여섯 개 | 열입곱 개 | 열여덟 개 | 열아홉 개 | 스무 개 | 스물한 개 | 스물두 개 | 스물세 개 | 스물네 개 | 스물다섯 개 | 스물여섯 개 | 스물일곱 개 | 스물여덟 개 | 스물아홉 개 | 서른 개 | … | 아흔아홉 개 | × | 백한 개 | 백두 개 | 백세 개 | 백네 개 | 백다섯 개 | … |
※緑色の文字は固有数詞と漢数詞が混在しています
명(名)
명(名) | 1 명(名) | 2 명(名) | 3 명(名) | 4 명(名) | 5 명(名) | 6 명(名) | 7 명(名) | 8 명(名) | 9 명(名) | 10 명(名) | 11 명(名) | 12 명(名) | 13 명(名) | 14 명(名) | 15 명(名) | 16 명(名) | 17 명(名) | 18 명(名) | 19 명(名) | 20 명(名) | 21 명(名) | 22 명(名) | 23 명(名) | 24 명(名) | 25 명(名) | 26 명(名) | 27 명(名) | 28 명(名) | 29 명(名) | 30 명(名) | … | 99 명(名) | 100 명(名) | 101 명(名) | 102 명(名) | 103 명(名) | 104 명(名) | 105 명(名) | … |
---|---|---|---|---|---|---|---|---|---|---|---|---|---|---|---|---|---|---|---|---|---|---|---|---|---|---|---|---|---|---|---|---|---|---|---|---|---|---|---|
漢数詞 | 일 명 | 이 명 | 삼 명 | 사 명 | 오 명 | 육 명 | 칠 명 | 팔 명 | 구 명 | 십 명 | 십일 명 | 십이 명 | 십삼 명 | 십사 명 | 십오 명 | 십육 명 | 십칠 명 | 십팔 명 | 십구 명 | 이십 명 | 이십일 명 | 이십일 명 | 이십삼 명 | 이십사 명 | 이십오 명 | 이십육 명 | 이십칠 명 | 이십팔 명 | 이십구 명 | 삼십 명 | … | 구십구 명 | 백 명 | 백일 명 | 백이 명 | 백삼 명 | 백사 명 | 백오 명 | … |
固有数詞 | 한 명 | 두 명 | 세 명 | 네 명 | 다섯 명 | 여섯 명 | 일곱 명 | 여덟 명 | 아홉 명 | 열 명 | 열한 명 | 열두 명 | 열세 명 | 열네 명 | 열다섯 명 | 열여섯 명 | 열입곱 명 | 열여덟 명 | 열아홉 명 | 스무 명 | 스물한 명 | 스물두 명 | 스물세 명 | 스물네 명 | 스물다섯 명 | 스물여섯 명 | 스물일곱 명 | 스물여덟 명 | 스물아홉 명 | 서른 명 | … | 아흔아홉 명 | × | 백한 명 | 백두 명 | 백세 명 | 백네 명 | 백다섯 명 | … |
※一般的には使われないものは赤色の×で表示しています
※緑色の文字は固有数詞と漢数詞が混在しています
上記の表の青い文字になっている、漢数詞を使った1名から19名まで(일 명,이 명,사 명…)は、日常的には使われませんが、新聞や会見、軍隊などの公式的な場や厳格な集団などでは使われることもあります。
마리(匹)
마리(匹) | 1 마리(匹) | 2 마리(匹) | 3 마리(匹) | 4 마리(匹) | 5 마리(匹) | 6 마리(匹) | 7 마리(匹) | 8 마리(匹) | 9 마리(匹) | 10 마리(匹) | 11 마리(匹) | 12 마리(匹) | 13 마리(匹) | 14 마리(匹) | 15 마리(匹) | 16 마리(匹) | 17 마리(匹) | 18 마리(匹) | 19 마리(匹) | 20 마리(匹) | 21 마리(匹) | 22 마리(匹) | 23 마리(匹) | 24 마리(匹) | 25 마리(匹) | 26 마리(匹) | 27 마리(匹) | 28 마리(匹) | 29 마리(匹) | 30 마리(匹) | … | 99 마리(匹) | 100 마리(匹) | 101 마리(匹) | 102 마리(匹) | 103 마리(匹) | 104 마리(匹) | 105 마리(匹) | … |
---|---|---|---|---|---|---|---|---|---|---|---|---|---|---|---|---|---|---|---|---|---|---|---|---|---|---|---|---|---|---|---|---|---|---|---|---|---|---|---|
漢数詞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이십 마리 | 이십일 마리 | 이십일 마리 | 이십삼 마리 | 이십사 마리 | 이십오 마리 | 이십육 마리 | 이십칠 마리 | 이십팔 마리 | 이십구 마리 | 삼십 마리 | … | 구십구 마리 | 백 마리 | 백일 마리 | 백이 마리 | 백삼 마리 | 백사 마리 | 백오 마리 | … |
固有数詞 | 한 마리 | 두 마리 | 세 마리 | 네 마리 | 다섯 마리 | 여섯 마리 | 일곱 마리 | 여덟 마리 | 아홉 마리 | 열 마리 | 열한 마리 | 열두 마리 | 열세 마리 | 열네 마리 | 열다섯 마리 | 열여섯 마리 | 열입곱 마리 | 열여덟 마리 | 열아홉 마리 | 스무 마리 | 스물한 마리 | 스물두 마리 | 스물세 마리 | 스물네 마리 | 스물다섯 마리 | 스물여섯 마리 | 스물일곱 마리 | 스물여덟 마리 | 스물아홉 마리 | 서른 마리 | … | 아흔아홉 마리 | × | 백한 마리 | 백두 마리 | 백세 마리 | 백네 마리 | 백다섯 마리 | … |
※緑色の文字は固有数詞と漢数詞が混在しています
漢数詞が使われるとき
漢数詞が使われる単位は、主に金額を表す「원(ウォン)」や「엔(円)」、住所の番号を表す「번(番)」「층(階)」「호(号)」、気温や角度を表す「도(度)」、料理の量を表す「인분(人前)」、回数を表す「회(回)」などがあります。
원(ウォン)
원(ウォン) | 1 원(ウォン) | 2 원(ウォン) | 3 원(ウォン) | 4 원(ウォン) | 5 원(ウォン) | 6 원(ウォン) | 7 원(ウォン) | 8 원(ウォン) | 9 원(ウォン) | 10 원(ウォン) | 11 원(ウォン) | 12 원(ウォン) | 13 원(ウォン) | 14 원(ウォン) | 15 원(ウォン) | 16 원(ウォン) | 17 원(ウォン) | 18 원(ウォン) | 19 원(ウォン) | 20 원(ウォン) | 21 원(ウォン) | 22 원(ウォン) | 23 원(ウォン) | 24 원(ウォン) | 25 원(ウォン) | 26 원(ウォン) | 27 원(ウォン) | 28 원(ウォン) | 29 원(ウォン) | 30 원(ウォン) | … | 99 원(ウォン) | 100 원(ウォン) | 1,000 원(ウォン) | 10,000 원(ウォン) | 100,000 원(ウォン) | 1000,000 원(ウォン) | … |
---|---|---|---|---|---|---|---|---|---|---|---|---|---|---|---|---|---|---|---|---|---|---|---|---|---|---|---|---|---|---|---|---|---|---|---|---|---|---|
漢数詞 | 일 원 | 이 원 | 삼 원 | 사 원 | 오 원 | 육 원 | 칠 원 | 팔 원 | 구 원 | 십 원 | 십이 원 | 십이 명 | 십삼 원 | 십사 원 | 십오 원 | 십육 원 | 십칠 원 | 십팔 원 | 십구 원 | 이십 원 | 이십일 원 | 이십일 원 | 이십삼 원 | 이십사 원 | 이십오 원 | 이십육 원 | 이십칠 원 | 이십팔 원 | 이십구 원 | 삼십 원 | … | 구십구 원 | 백 원 | 천 원 | 만 원 | 십만 원 | 백만 원 | … |
도(度)
도(度) | 1 도(度) | 2 도(度) | 3 도(度) | 4 도(度) | 5 도(度) | 6 도(度) | 7 도(度) | 8 도(度) | 9 도(度) | 10 도(度) | 11 도(度) | 12 도(度) | 13 도(度) | 14 도(度) | 15 도(度) | 16 도(度) | 17 도(度) | 18 도(度) | 19 도(度) | 20 도(度) | 21 도(度) | 22 도(度) | 23 도(度) | 24 도(度) | 25 도(度) | 26 도(度) | 27 도(度) | 28 도(度) | 29 도(度) | 30 도(度) | … | 99 도(度) | 100 도(度) | 1,000 도(度) | 10,000 도(度) | 100,000 도(度) | 1000,000 도(度) | … |
---|---|---|---|---|---|---|---|---|---|---|---|---|---|---|---|---|---|---|---|---|---|---|---|---|---|---|---|---|---|---|---|---|---|---|---|---|---|---|
漢数詞 | 일 도 | 이 도 | 삼 도 | 사 도 | 오 도 | 육 도 | 칠 도 | 팔 도 | 구 도 | 십 도 | 십이 도 | 십이 도 | 십삼 도 | 십사 도 | 십오 도 | 십육 도 | 십칠 도 | 십팔 도 | 십구 도 | 이십 도 | 이십일 도 | 이십일 도 | 이십삼 도 | 이십사 도 | 이십오 도 | 이십육 도 | 이십칠 도 | 이십팔 도 | 이십구 도 | 삼십 도 | … | 구십구 도 | 백 도 | 천 도 | 만 도 | 십만 도 | 백만 도 | … |
時間を読むとき
韓国語で時間を表すときは、午前、午後を表記する場合の12時間制と午前、午後を表記しない場合の24時間制があり、それぞれ表記の仕方が異なりますので、2つの場合に分けて解説します。
12時間制の場合
12時間制で時間を表記する場合は、時(時間)は固有数詞で表し、分と秒は漢数詞で表記します。
「午前9時35分10秒」を韓国語で表記すると?
「오전 아홉 시 삼십오 분 십 초」と表記します。
「午後4時55分42秒」を韓国語で表記すると?
「오후 네 시 오십오 분 사십이 초」と表記します。
時間を表す時に使う単位「시(時)」「분(分)」「초(秒)」は、原則的には数字と分かち書きをして使用しますが、時刻は分かち書きをせず、付けて使用することもできます。(韓国国立語学院より)
24時間制の場合
午前、午後を表記しない場合(24時間制)は、時(時間)の13時以降は、漢数詞で表します。
時間 | 韓国語 |
---|---|
1時 | 한 시 |
2時 | 두 시 |
3時 | 세 시 |
4時 | 네 시 |
5時 | 다섯 시 |
6時 | 여섯 시 |
7時 | 일곱 시 |
8時 | 여덟 시 |
9時 | 아홉 시 |
10時 | 열 시 |
11時 | 열한 시 |
12時 | 열두 시 |
13時 | 십삼 시 |
14時 | 십사 시 |
15時 | 십오 시 |
16時 | 십육 시 |
17時 | 십칠 시 |
18時 | 십팔 시 |
19時 | 십구 시 |
20時 | 이십 시 |
21時 | 이십일 시 |
22時 | 이십이 시 |
23時 | 이십삼 시 |
24時 | 이십사 시 |
年齢を数えるとき
韓国で年齢を数えるときに使う単位は「살」と「세(歳)」があります。普段の日常会話では「살」をよく使いますが、公式的な場や文書などでは、「세(歳)」を使う傾向があります。
「살」は固有数詞と一緒に使い、「세(歳)」は漢数詞と一緒に使います。
年齢 | 살 | 세 |
---|---|---|
1さい | 한 살 | 일 세 |
2さい | 두 살 | 이 세 |
3さい | 세 살 | 삼 세 |
4さい | 네 살 | 사 세 |
5さい | 다섯 살 | 오 세 |
6さい | 여섯 살 | 육 세 |
7さい | 일곱 살 | 칠 세 |
8さい | 여덟 살 | 팔 세 |
9さい | 아홉 살 | 구 세 |
10さい | 열 살 | 십 세 |
11さい | 열한 살 | 십일 세 |
12さい | 열두 살 | 십이 세 |
13さい | 열세 살 | 십삼 세 |
14さい | 열네 살 | 십사 세 |
15さい | 열다섯 살 | 십오 세 |
16さい | 열여섯 살 | 십육 세 |
17さい | 열일곱 살 | 십칠 세 |
18さい | 열여덟 살 | 십팔 세 |
19さい | 열아홉 살 | 십구 세 |
20さい | 스무 살 | 이십 세 |
日付を数えるとき
日付を表す年月日(ねんがっぴ)を言うときは、基本的に漢数詞を使います。単位は、年を表す「년」、月を表す「월」、日を表す「일」を使います。
年 | 년 |
---|---|
1990年 | 천구백구십 년 |
2000年 | 이천 년 |
2008年 | 이천팔 년 |
2010年 | 이천십 년 |
2020年 | 이천이십 년 |
2023年 | 이천이십삼 년 |
月 | 월 |
---|---|
1月 | 일 월 |
2月 | 이 월 |
3月 | 삼 월 |
4月 | 사 월 |
5月 | 오 월 |
6月 | 유 월 |
7月 | 칠 월 |
8月 | 팔 월 |
9月 | 구 월 |
10月 | 시 월 |
11月 | 십일 월 |
12月 | 십이 월 |
日 | 일 |
---|---|
1日 | 일 일 |
2日 | 이 일 |
3日 | 삼 일 |
4日 | 사 일 |
5日 | 오 일 |
6日 | 유 일 |
7日 | 칠 일 |
8日 | 팔 일 |
9日 | 구 일 |
10日 | 시 일 |
11日 | 십일 일 |
12日 | 십이 일 |
13日 | 십삼 일 |
14日 | 십사 일 |
15日 | 십오 일 |
16日 | 십육 일 |
17日 | 십칠 일 |
18日 | 십팔 일 |
19日 | 십구 일 |
20日 | 이십 |
21日 | 이십일 일 |
22日 | 이십이 일 |
23日 | 이십삼 일 |
24日 | 이십사 일 |
25日 | 이십오 일 |
26日 | 이십육 일 |
27日 | 이십칠 일 |
28日 | 이십팔 일 |
29日 | 이십구 일 |
30日 | 삼십 일 |
31日 | 삼십일 일 |
漢数詞と固有数詞で意味が変わる単位
ページを意味する「페이지」
「ページ」という意味の「페이지」は、前に漢数詞と固有数詞がどちらかがくるかによって2つの意味に区別されます。
特定のページを指す場合
特定のページを指す場合は、単位の「페이지(ページ)」と一緒に漢数詞を使用します。
일 페이지를 펴보세요.(1ページを開いていください)
십삼 페이지를 펴보세요.(13ページをみてください)
ページの量を表す場合
ページを量を表す場合は、単位の「페이지(ページ)」と一緒に固有数詞を使用します。
매일 한 페이지씩 공부하세요.(毎日1ページずつ勉強してください)
다음주까지 열다섯 페이지 읽으세요. (来週まで15ページ読んでください)
順番、回数を表す「번」
「順番」や「回数」という意味である「번」も、前に漢数詞と固有数詞がどちらかがくるかによって2つの意味に区別されます。
順番を表す場合
順番を表す場合は、単位の「번」と一緒に漢数詞を使用します。
일 번을 보세요.(1番を見てください)
십오 번은 기출문제입니다.(15番は既出問題です)
回数を表す場合
回数を表す場合は、単位の「번」と一緒に固有数詞を使用します。
한 번만 더 보세요.(もう1度だけみてください)
열번이 한계입니다. (10回が限界です)
韓国語の数字を定着させる練習問題を解いてみよう!
では、みなさんがどれくらい理解したのか練習問題で確認してみましょう。
Q.1)8권(8冊)
여덟 권
Q.2)오전 9시 26분 13초
아홉 시 이십육 분 십삼 초
Q.3)23시 50분 10초
이십삼 시 오십 분 십 초
Q.4)20송이
이십 송이・스무 송이
Q.5)9살
아홉 살
ややこしい韓国語の数字を克服するには
韓国語ネイティブも、「このときは漢数詞」「この場合は固有数詞」という風に考えて数を話しているわけではありません。どちらかというと「慣れ」で瞬時に判断をしています。語学学習には、語学の習慣化による「慣れ」は必要不可欠です。
みなさんもまずは、身近な韓国ドラマ、韓国映画でよく登場する単位や、韓国人の友達がよく使う単位、この記事で紹介した単位を定着させましょう。
- 韓国語の数字の読み方には、漢数詞と固有数詞の2種類がある
- 漢数詞と固有数詞の明確な使い分けの規則はない
- まずはよく使われる単位のパターンを覚えよう